"숱한 선생님들 삶이 전교조 역사"

강성란 기자 | 기사입력 2017/06/09 [18:17]
재미in
재미켜다
"숱한 선생님들 삶이 전교조 역사"
| 인 | 터 | 뷰 | <다시, 닫힌 교문을 열며> 쓴 윤지형 부산 해강고 교사
강성란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7/06/09 [18:17]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인 | 터 | 뷰 | <다시, 닫힌 교문을 열며> 쓴 윤지형 부산 해강고 교사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 안에 녹아 있는지…… 책 한 권이 터질 듯합니다."

 

한 교사는 <다시, 닫힌 교문을 열며>의 마지막 책장을 덮은 느낌을 이렇게 설명했다. 

 

'전교조 27년, 그리고 그 후를 위하여'라는 부제가 딸린 이 책은 전교조가 말하는 전교조 이야기다. 2014년 전교조 결성 25주년 기념사업으로 기획됐지만 오랜 산고 끝에 3년 만인 지난해 말 세상에 나왔다. '사람들에게 전교조의 삶과 진실을 가만가만 들려주는 책'을 쓰고 싶었던 마음 하나로 집필을 마친 윤지형 부산 해강고 교사를 출판기념회가 열린 지난 2일 전교조 부산지부 사무실에서 만났다. 

 

"학교를 마치면 달려간 부산교사협의회 사무실에서 또 술자리에서 숱한 선생님을 만나는 동안 '이렇게 멋진 이들의 이야기를 꼭 써서 세상에 알리고 싶다'는 소망을 가지게 됐다. 28년을 살아온 전교조, 많게는 10만 명 가까이, 적게는 5만 명이 넘는 조합원 수를 곱해보면 전교조의 시간은 100만년, 200만년을 웃돈다. 이 선생님들의 꿈과 열정, 고민과 투쟁의 이야기가 전교조의 역사이다. 전교조는 이 선생님들 속에 있다는 것을 책을 통해 말하고 싶었다."

 

그의 말처럼 책 속에는 교무실의 벌떡 교사, 5월 10일 교육민주화선언을 위해 각 지역 YMCA 사무실로 향하던 교사, 전교조 선생님들을 지키겠다며 일어선 학생들의 이야기부터 합법화 이후 제도 개선 투쟁의 맨 앞에 선 교사들의 이야기까지 전교조와 함께 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마음이 가득하다. 떠받들어진 '스승'이 아닌, 동네북이 된 '선생질'을 하는 선생도 아닌, 그야말로 '전교조 교사'들의 오랜 투쟁부터 여전히 진행형인 법외노조 투쟁,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촉구 교사선언에 이르는 방대한 사건들을 기술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을까?

 

"조직 내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는 네이스 투쟁, 10년이 넘도록 여전히 끝나지 않은 교원평가 투쟁 같은 것을 어떻게 기술해야할지 막막했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전교조 교사들은 그것을 그냥 두고 볼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투쟁의 성과도 물론 소중하지만 그 성패를 넘어 전교조는 문제의 교육 현장에 대한 문제 제기와 당면한 싸움을 멈추지 않아 왔다는 것이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는 덧붙였다.  

 

"오늘 내가 어느 반에 들어가 수업을 잘 했어도 내일 수업까지 그럴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 않은가. 전교조의 과업 혹은 해야 할 일들은 학교가 존재하는 한 나날이 계속될 것이다."

 

서슬 퍼런 독재군부 시절 출범, 학교 민주화를 위한 투쟁, 대규모 해직……. 책을 읽는 이들이 혹여 전교조의 '비장한 모습'에 거리감을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 

 

윤지형 교사는 "거짓은 쉽지만 진실은 견디기 힘든 것"이라 말한다. 무겁고 때로는 너무 아픈 전교조의 역사를 회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책을 보며 선배들이 해온 교육 운동에 공감하길 바라는 마음도 숨기지 않았다. 

 

1989년 여름 1500여명이 학교에서 쫓겨났던 야만의 시절, 당시 전교조 교사들은 '다 죽으면 다 산다'는 마음으로 처절하게 버텼다. 고민 끝에 전교조 탈퇴 각서를 쓴 뒤 이를 번복하는 일도 다반사였다. 차라리 전쟁이었다면 전략, 전술이 있었겠지만 교사들에게는 그저 뜨거운 마음이 전부였다.  

 

"전국교사협의회 활동을 처음 시작한 1988년은 엄혹한 시기였지만 행복했다. 학교를 파하면 삼삼오오 모여 가슴 속에 꽁꽁 숨겨둔 이야기를 토해내고 서로 공감해주던, 말의 투쟁이 가능한 시기였다.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마음이 뜨거워진다"는 그는 "그때와는 많은 것이 변화했지만 지금도 학교 안엔 침묵의 문화가 잔존해 있고 국가로부터의 유·무형의 압박이 존재한다. 늘 깨어있는 전교조 교사가 필요한 까닭이다."

 

책에는 2014년 7월 1만 2244명이 서명한 '박근혜 대통령은 물러나야합니다. 참교육 25년 전교조를 지키겠습니다'라는 제목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촉구 2차 교사선언문이 실려 있다. 

 

참여교사 전원에 대한 고발과 징계 방침에도 세월호 참사를 책임져야 할 당사자가 대통령임을 분명히 밝힌 교사들의 선언은 전교조 출범 당시 '우리 제자들의 해맑은 웃음을 위해 굳게 뭉쳐 싸워나가자'는 다짐을 떠올리게 한다고 그는 말했다.

 

"전교조는 이상하리만치 자신의 역사 기록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오늘을 한껏 살아갈 뿐. 전교조에 애정을 가진 이들에게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일 중 하나다. 역사에 대한 성찰은 세상의 변혁을 도모하는 사람들에게 필수 불가결한 과제 아닌가." 

 

고은 선생처럼 교사 만인보를 쓰고 싶었다는 그에게 전교조의 역사는 '아수라 지옥' 같은 악질 사학과 싸워 온, 늘 학생들과 함께이고 싶었던, 전교조 동네 곳곳에서 어제도 존재했고 오늘도 존재하며 학교가 깡그리 망하지 않는 한 내일도 있을 선생님들 속에 있다. 그는 말한다. 전교조 교사들이 별처럼 빛났기에 학생들도 길을 찾았다고. 이런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더 많은 사람들이 읽기를 소망한다고.   

이 기사 좋아요
ⓒ 교육희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PHOTO News
메인사진
[만화] 돌고 도는 학교
메인사진
[만화] 새학기는 늘 새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