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l
로그인
l
회원가입
특집기획
89년 해직교사 원상회복
세월호
교원노조법
교원평가, 성과급
공무원연금
법외노조취소
노동-정치기본권
입시폐지대학평준화
교육자치
사립학교
전체기사
개인정보처리방침
광고 안내
기사제보
보도자료
기사검색
89년 해직교사 원상회복
리스트형
기본형
포토형
메인사진
그 많던 해직교사는 다 어디로 갔을까?
“31년을 기다렸다. 원상회복 특별법 제정” 1인 시위. 1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 하루 종일 서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것도 매일 서 있는 것도 아닌데 힘들 ...
유기창·퇴직교사
| 2021.01.05 10:07
메인사진
1인 시위 100일, 새해에는 역사적 정의가 세워지기를
김용택(77세) 선생님은 1989년 마산여상에서 해직되었다가 1994년 울산 일산중학교로 복직. 2004년 합포고등학교에서 퇴직하셨습니다. 전교조 경남지부장과 ...
김용택·89년 해직교사
| 2020.12.29 10:29
메인사진
촌지거부하니 '공산주의자'로 몰려
이주영(65) 교사는 1989년 서울장충초에서 파면되어 1994년 서울성자초로 복직하였으나 서울마포초 재직 중 위암과 간 3곳에서 전이암이 발견되어 2011년에 ...
이주영·퇴직교사
| 2020.12.15 10:40
메인사진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던 학생의 유서... 현실은 참담했다
박병섭(63) 교사는 1989년 고흥 포두중에서 해직된 뒤 1994년 복직 이후 2019년 전남 순천여고에서 퇴직하였다. 해직 기간에 지역 역사 알기 활동을 하였고, ...
박병섭·퇴직교사
| 2020.12.09 15:31
메인사진
작은 눈인사에도 힘을 얻습니다.
김우성(68) 선생님은 1989년 대전 보문고등학교에서 해직되었고 복직한 뒤 2015년 인천고등학교에서 퇴직하였다. 전교조 대전지부장으로, 퇴직 이후에는 ...
김우성·인천퇴직교육자협의회장
| 2020.12.08 15:48
메인사진
'북침설 교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강성호 선생님은 노태우 정부 시절인 1989년 충북 제원고에서 수업 중 북침설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구속됐다. 당시 경찰과 학교는 학생 6명에게 이 같은 ...
강성호·충북 상당고 교사
| 2020.12.04 15:35
메인사진
그때도 옳았고 지금도 옳다
1981년 보령의 청라중학교로 첫 발령을 받은 나는 시골 아이들과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참으로 행복했다. 철필로 긁고 등사판에 밀어 환호하며 함께 만든 ...
박경이·89년 해직교사
| 2020.12.03 15:07
메인사진
31년 전 ‘빨갱이’ 누명 쓴 교사, “국가보안법 철폐해야”
12월 1일은 국가보안법 만들어진 지 72년 되는 날이다. 의레 역사적인 날을 기념할 때와는 달리 강성호 교사(청주 상당고)는 이날 청주지방법원 앞에서 오 ...
김상정
| 2020.12.02 15:32
메인사진
기고/ 89년 해직교사 원상회복 특별법 제정해야
"31년을 기다렸다. 89년 전교조 해직교사 원상회복 시켜라!" 머리가 허연 할아버지가 출근 시간 횡단보도에서 이런 피켓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을 보 ...
김용택·89년 해직교사
| 2020.11.17 15:45
1
전송
여러단어검색
전체검색
섹션전체
최근날짜부터
PHOTO
[그림판]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만들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내년에는
[그림판] 새로운 전교조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리는 뭘 할 수 있나요?
이전
1
/4
다음
많이 본 기사
1
교육감협, "2020 성과상여금 균등지급해야"
2
2심 간 불법촬영교사 사건, 치열한 법정공방 예고
3
지자체 중심 초등 돌봄, 학교 돌봄터 사업 추진
4
얘들아 어서와, 온라인 졸업식은 처음이지?
5
전교조, 기후위기와 환경교육 영상 3편 전격 공개
6
전주예술중·고 교사 6명, 보복성 부당해고 논란
7
전교조 등 6개 교원단체, 코로나 위기 극복 공동선언
8
전교조, 교육적폐 1위 '차등성과급 폐지' 촉구
9
[따르릉 교권상담] 석사, 박사 학위 취득 기간은 호봉 경력으로 인정되나요?
10
코로나19 시대,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위해 필요한 것은?
특집기획
많이 본 기사
1
1인 시위 100일, 새해에는 역사적 정의가 세워지기를
2
그 많던 해직교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최신기사
18세 선거권 1주년 기념 '청소년의 정치를 말하라' 토론회 열려
전교조, 교육적폐 1위 '차등성과급 폐지' 촉구
전교조 등 6개 교원단체, 코로나 위기 극복 공동선언
코로나19 시대,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전교조, 기후위기와 환경교육 영상 3편 전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