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 전남지부는 11월 2일, 전남교육청 앞에서 '전남교육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최민상 주재기자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남지부(지부장 신왕식, 이하 전남지부)는 2일 전남교육청 앞에서 ‘교권보호 의지없고, 교원정원 감축에는 무대책인 전남교육청’을 규탄하고, ‘전남교육 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신왕식 전남지부장은 “지금 이 시간에도 고흥에서, 보성에서, 목포에서, 전남 곳곳에서 아동학대 피소 민원과 교권침해사례 접수가 끊이지 않고 있다. 9월 25일 이전에 발생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아동학대 피소 교사에 대해 2,500여 명의 전남교사들이 탄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그러나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의견서 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또한 교사의 교육권을 지키겠다며 공언했지만 실행에 옮기지 않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김대중 교육감은 지금은 해외로 다닐 때가 아니라 교원정원 확보를 위해 교육부로, 국회로 뛰어다닐 때이다. 교사 감축으로 전남의 모든 학교는 비정상이 되고 있다. 교사 감축으로 인한 학교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 시작이 ‘전남교육 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이라고 강조했다.
‘전남교육 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은 ▲ 실효적인 교권보호 방안 제시 ▲ 9. 25 이전 아동학대 피소 교사에 대한 교육감의견서 제출 ▲ 작은학교 다 죽이는 과중한 행정업무 감축 방안 마련 ▲ 상치교과를 지양하고 수업시수 과다교사에 대한 대책 마련 ▲ 교사 정원 감축으로 인한 교육 파행을 막기 위한 종합대책안 마련이다.
전남지부는 “고(故) 서이초 선생님 죽음 이후 무너진 교권을 바로 세우기 위해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교권보호 대책 수립에 나서, 현재 대부분 시‧도교육청은 교권보호 대책을 이미 발표했고, 구체적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남교육청은 예외”라고 비판했다.
또한, 전남교육청은 관련 시스템이나 방안을 마련하고 법률지원 확대를 떠들고 있을 뿐 공식적인 발표도,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도 없다면서 전남 교사들의 자긍심과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지고 있고, 전남교육은 비정상으로 치닫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내년 교사정원 감축 발표에도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은 채 일방적인 특정 교과 교사 감축 통보와 같은 구태의연한 행정이 되살아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남교육 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은 전남지부가 1,394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와 지역대표자, 학교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마련한 것이다.
▲ 신왕식 전남지부장이 이경석 교육감 비서실장에게 전남교육 정상화를 위한 5대 요구안을 전달하고 있다 © 최민상 주재기자
|
전남지부는 5대 요구안을 기자회견 후 이경석 교육감 비서실장에게 전달하면서 “요구안이 받아들여질 때까지 1인 시위를 지속하며, 학부모단체 ·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활동을 할 것이다. ‘전남교육 멈춤’, ‘행정업무 거부’ 등을 포함한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