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부에서 열심히 투쟁한 이야기, 따뜻한 조합 소식 등등 '한 주의 지역뉴스'를 모아모아 전해드립니다.
[강원] 대의원대회 결의,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뜻 모아
전교조 강원지부는 9월 15일 민주노총 원주지역지부 대회의실에서 제68차 대의원대회를 열고, '2023 단체교섭 요구안'과 '2023 하반기 사업계획' 등 6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전국적으로 교육권 확보 요구가 터져나오고, 지역에서는 도교육청이 먼저 단체협약 갱신을 요구하는 조건에서 하반기 사업계획 확정과 단체교섭 승리를 위한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대의원들은 마지막으로 결의문을 채택하고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법 개정 등 제도 개선 ▲예산과 인력 확보 ▲교사가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을 쟁취하는 투쟁을 결의했다. (조영국 주재기자)
[세종] 지부대의원대회 '교육이 가능한 학교로 가는 지름길 만들자' 결의
9월13일, 세종지부 회의실에서 2023년 하반기 대의원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자리에서 대의원들은 하반기 사업계획을 의결하고 서이초 사건 이후 달라진 학교 분위기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대의원들은 교사와 학생, 보호자 등이 갈가리 찢겨 앙상한 뼈만 드러내는 교육공동체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무너진 신뢰를 바로 세우고, 더 안전한 교육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상미 지부장은 “숱한 어려움을 헤치고 끝내 승리의 길을 만들어 온 것이 우리 전교조의 역사”라면서 “반교육의 벽을 허물며 참교육을 향해 전진하자”고 결의했다. (조현기 주재기자)
[인천] 프랑스 공영방송사에 한국 교권을 말한 선배 교사
전교조 인천지부 조합원 인천신촌초 안미경 교사는 9월 21일, 프랑스 공영방송사 Arte의 '한국의 교권추락' 뉴스 촬영을 위해 본인의 수업을 공개하였다. 한국 교권에 대한 인터뷰에도 응하며 한국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대변하였다. 안미경 교사는 낯선 국가의 방송사에 수업을 공개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후배교사들을 위해서라도 용기를 내었다고 말했다. 공개수업 중 한 학생의 발표에 반 친구들이 들리지 않는다고 하자 "우리 친구는 목소리가 작아요. 그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에요. 안 들리는 내용은 선생님이 말해줄게요" 라며 학생 한명 한명을 소중히 하는 안 교사 노력이 수업 속에 녹아나왔다. 안 교사는 한국의 교육 여건 개선과 교사들의 노동 권리를 위해서 수업 공개와 인터뷰에 응하는 용기와 노력을 보여주었다. (최지은 주재기자)
[전남] 전남지역 국회의원 10명 전원 법개정 동의서 제출
전교조 전남지부는 9월 7일부터 전남지역 국회의원에게 교사의 교육활동 보호 법 개정 동의서를 요청하여, 전남지역 10명의 국회의원 전원에게 동의서를 받았다. 교육활동 보호 법 개정은 교사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한 최소한의 뒷받침이고, 인력과 예산을 확보하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면 학교현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전남지부는 전남교육청에서 운영하는 TF회의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과 간담회를 진행하여 교권보호 지원 방안, 교사정원 감축 반대, 지방교육재정 확보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최민상 주재기자)
[제주] 갑질·성희롱 교장 직위해제 및 중징계 요구
전교조 제주지부는 9월 18일 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갑질·성희롱 교장을 징계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지부는 그간 세 차례의 성명서 발표를 통해 도내 모 고등학교 교장의 갑질행위와 성희롱을 규탄하고 중징계할 것을 요구했다. 해당 교장은 성고충심의위원회를 통해 '성희롱에 해당됨'이라는 심의결과가 나왔음에도 성희롱을 교육청에 신고한 교사를 무고죄로, 갑질문제를 공론화한 교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이에 제주지부는 기자회견을 통해서 갑질·성희롱 교장의 즉각 직위해제와 중징계를 요구하고 60여 명의 해당학교 교사들이 연서명한 탄원서를 교육청에 전달하였다. 이후 해당학교 교사들이 보호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요구했다. 덧붙여 제주도교육감이 발표한 교육활동보호대책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사항도 전달했다. (김유리 주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