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전 11시, 범국민연대는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일부터 5일간 휴가갔다가 업무에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복귀 첫 업무로 '만 5세 초등 취학 정책 철회'를 하라고 주문했다. © 김상정 기자
|
지난 1일부터 8월 첫째주 내내 윤석열 대통령이 휴가를 보내는 동안 교사, 학부모를 비롯한 시민들은 휴가를 모두 반납하고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연일 집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만5세 초등 취학 정책 철회’의 목소리를 높여 왔다. 8일 윤석열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한 첫날 ‘만 5세 초등 취학 정책 철회’의 외침 소리는 더욱 더 커져가고 있다.
58개 단체로 꾸려진 ‘만 5세 초등취학 저지를 위한 범국민연대(범국민연대)’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휴가 복귀의 첫 업무로 “만 5세 초등취학 정책 철회”를 가장 먼저 발표하라고 촉구했다.
범국민연대는 8일 오전 11시, 용산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의 빠른 결단과 발표가 없을 시 ‘만 5세 초등학교 취학 학제 개편안 철회’를 위해 총력투쟁할 것이다.”라고 거듭 밝혔다.
▲ 범국민연대 공동대표들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범국민연대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만 5세 초등 취학 정책 철회'를 오늘(8일) 당장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 김상정 기자
|
이날 범국민연대는 크게 세 가지 요구사항을 밝혔다. 첫번째 요구사항은 8일 대통령 휴가 복귀 첫 업무로 ‘만 5세 초등취학 정책 철회 발표를 서둘러 달라는 것’이다. 국민들은 더 이상 교육부의 오락가락하는 입장과 국민과 불통하는 태도를 인내하며 지켜보기 힘든 상황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두 번째 요구사항은 '만 5세 초등취학 정책의 공론화를 국가교육위원회 또는 국가책임교육강화추진단에 넘겨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국민들이 현재 원하는 것은 만 5세 초등취학 정책 철회가 전제되는 국가책임교육강화”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범국민연대는 마지막 요구사항에 ‘지금 당장 만 5세 초등취학 정책이 철회되지 않는다면, 국가교육 책임강화에서 어떤 논의도 국민들에게 안심을 줄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거듭 철회를 촉구했다.
범국민연대는 “만약 오늘 대통령이 국민들의 불안에 공감하고 요구에 호응하여, 만 5세 초등취학 정책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한다면 국민들은 두 손 들어 환영하며 대통령의 소통 능력에 박수를 보낼 것이다.”라며 “서둘러 부모들의 성난 마음을 위로하는 메세지를 내놓아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국민들이 응답을 원하는 때를 놓친다면, 앞으로 더 거세지는 민심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이 휴가 후 업무 복귀 첫 날인 오늘(8일), 아침부터 박순애 교육부 장관 사퇴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은 만 5세 초등취학 정책 철회 입장은 명확하게 내놓지 않고 있다. 정지현 범국민연대 대표는 명확하게 ‘만 5세 초등취학 정책철회’를 하지 않을 시, “오늘(8일)부터 용산대통령집무실, 국회, 경기도교육청, 세종시교육부 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는 토요일(13일) 그동안 평일이라 집회에 나오지 못했던 시민, 학부모가 집결하는 1만 여 명 규모의 대국민 집회를 열어 더욱 더 강력하게 국민들의 목소리를 내겠다고 밝혔다.
앞서, 범국민연대는 대통령 휴가 마지막 날이었던 지난 5일, 범국민 집회를 용산대통령집무실 앞에서 개최하고,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는 서한문과 함께 '만 5세 초등 취학 정책'에 반대하는 서명지에 이름을 올린 21만 명 국민들의 명단을 출력해서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범국민연대는 이날 대통령실에서 '국민들 여론을 귀담이 들으려고 하고 있다, 대통령에게 잘 전달하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8일, 폭우가 내리고 있는 가운데 교사, 학부모, 시민들은 용산대통령집무실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들 여론을 받아들여 '만 5세 초등 취학 정책' 철회를 발표할지 여부에 언론과 교육계를 비롯한 수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