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전교조 본부 성명 발표에 이어 8월 1일 전국 17개 시도지부가 일제히 성명을 냈다. 2일부터는 전국동시다발로 1인 시위를 통해 '만5세 취학 정책 철회를 촉구하고 공동행동에 돌입했다. © 전국 17개 시도지부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위원장, 전희영)이 정부의 만5세 초등취학 정책 저지를 위한 전국동시다발 공동행동에 돌입했다. 교육부가 29일, 초등입학연령 만 5세로 낮추는 학제개편안을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전교조는 31일,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1일, 17개 시도지부에서 잇따라 성명을 통해 윤석열 정부에 ‘만5세 취학 정책 철회를 촉구했다.
2일부터 전교조 본부와 17개 시도지부는 용산 대통령집무실과 17개 전국 시도교육청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는 등 ’만5세 취학 저지를 위한 전국동시다발 공동행동을 시작했다.
앞서, 7월 30일부터 전교조를 비롯한 55개 교육시민사회단체는 공동으로 만 5세 초등입학 계획 즉각 철회와 전문적 식견없이 독단적으로 정책을 고수하는 교육부 장관 사퇴를 촉구하는 대국민 서명을 시작했다. 오는 14일에 종료되어 대통령실과 교육부에 전달될 예정인 해당 서명에는 2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17만 6938명 서명에 동참했다.
전교조를 비롯한 교사·학부모·교육·시민·사회단체와 교육전문가들은 긴급히 ‘만 5세 초등취학 저지를 위한 범국민연대(범국민연대)’를 꾸리고 1일,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
범국민연대는 “유아들의 삶과 성장을 단지 ‘산업인력 양성’이라는 경제적 논리에 종속시키는 반교육적인 정책 당장 폐기”를 촉구했다. 범국민연대는 기자회견 직후, 1일부터 ‘만 5세 초등취학 저지를 위한 릴레이 집회’를 시작했다.
범국민연대가 주최하는 집회는 용산대통령집무실 앞에서 매일 이어지고, 오는 3일에는 전교조와 28개 서울지역 교육시민사회단체가 집회를 주도한다. 5일에는 범국민연대에 참여하는 모든 단체들이 함께 ‘만5세 취학 저지를 위한 총력 투쟁’을 전개할 예정이다.
▲ 전희영 전교조 위원장은 2일, 윤석열 정부에 '만5세 취학 정책 즉각 철회와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다. © 김상정 기자
|
전희영 전교조 위원장은 2일 낮 12시,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1인 시위를 전개하고 ‘만5세 취학연령 하향 정책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전희영 위원장은 “만5세 취학 정책은 유아들이 마음껏 뛰어놀 권리를 국가가 빼앗은 정책이다.”라며 “사회적 합의는커녕 토론 한번 없이, 장관 취임 한 달 된 교육부가 내놓을 정책이 결코 아니며 그 피해는 유아들과 학부모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에게 해당 정책을 즉각 철회와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다.
한편, 사회적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정치권에서도 정책 철회 입장을 명확히 밝히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원장은 지난 1일 보도자료를 통해 “박순애 교육부 장관은 만 5세 취학연령 학제 개편 정책을 즉각 백지화하고 향후 국회에서 진행될 인사검증에 성실히 임할 것"을 촉구했다. 이은주 정의당 원내대표 또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무조건 밀어붙이는 식의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국정운영'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