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7일 청계광장에서 전국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학생 600여 명이 집회를 열고, 새 정부와 교육감 후보들에게 정규교원 확충으로 학급당 학생수 20명 상한제를 실현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 교대련 제공
|
전국 교육대학생들과 사범대 학생들이 지방선거에 출마한 교육감 후보자들과 새 정부에 학급당 학생수 20명 상한제 실현과 정규교원 확충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7일, 전국 32개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학생회로 구성된 ‘교-사대 지선 대응 공동행동’은 ‘핑계뿐인 미봉책은 소용없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청계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서울 도심을 행진했다. 집회에 참여한 600여 명의 대학생은 지금까지 교육부와 교육감이 말한 핑계들이 적힌 현수막을 찢고 예비교사들의 목소리를 들을 것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 예비교사들인 교사대생들이 들었다고 밝힌 교육당국의 핑계들 © 교대련
|
이들은 집회에 이어 청계광장에서 안국역과 경복궁역을 지나 다시 청계광장으로 향하는 길에 미리 조성된 ‘미봉책 밟기 존’과 ‘공교육 만들기 존’을 행진하며 교육 당국에 학급당 학생 수 20명 상한제 실현과 정규교원 확충을 거듭 촉구했다.
먼저 ‘미봉책 밟기 존’에서는 교육 당국이 내세웠던 미봉책을 힘껏 밟고 지나가는 행진을 펼쳤다. 이들은 올해 2월 4일 행정안전부가 정규교원을 1089명 감축한 것과 2월 7일 교육부가 비정규직 교사 1만명을 투입한 정책 등은 그야말로 ‘미봉책’에 불과하니 근본 대책을 결단하라고 촉구했다.
▲ 전국 교사대 학생들이 핑계뿐인 미봉책이라고 비판하는 교육당국의 정책들 © 교대련
|
두 번째 펼쳐진 ‘공교육 만들기 존’은 학급당 학생 수 20명 실현과 정규교원 확충 요구 위를 돈이 뒤덮고 있는 곳이다. 교·사대생들은 요구를 뒤덮고 있는 돈을 거둬내고 공교육 강화 길을 만드는 행진을 펼쳤다.
▲ 서울도심을 행진하는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들의 요구를 뒤덮고 있는 돈을 걷어내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 교대련
|
이혜진 10기 전국교육대학생연합 의장(서울교대 총학생회장)은 “이제는 각 교육감들의 결단이 절실히 필요할 때다.”라며 “중앙 정부가 학급당 학생 수 20명 상한제를 정규교원을 확충하여 완성하도록 전국 교육감이 예비교사들과 함께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날 ‘교-사대 지선 대응 공동행동 선포문’이 발표됐다. 선포문은 ‘공교육 정상화 정책을 집행할 교육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비정규직 양산으로 공교육을 해결하려는 무책임한 정책’은 그만둘 것을 촉구했다. 또한, 지금은 중앙 정부가 20명 상한제를 정규교원을 확충하여 완성하도록 교육감, 현장교사, 예비교사의 목소리가 모두 필요한 때임을 강조하며, 2022년 지방선거는 공교육의 역할을 다시 세우는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이들이 새 정부의 교육부와 예비교육감을 향해 외치는 구호는 ‘학급당 학생 수 20명 상한제 교육감 임기 내 완성하라’ 와 ‘대책 없는 비정규직 교사 양산 반대한다. 정규교원 확충하라’다.
▲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후보들에게 전교조가 공약화할 것을 제안하는 10대 교육의제 ©김상정 기자
|
한편, 현장교사들의 노동조합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지난달 28일, ‘‘6.1 지방선거 전교조 교육정책’을 발표하면서 교육감 선거에 10대 의제 40개 정책을 교육공약으로 삼을 것을 요구하면서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위해 학급당 학생 수 20명(유아 14명·특수 영·유·초·중등 2-3-5-5)상한제 실현 등을 촉구한 바 있다. 전희영 전교조 위원장은 “지금의 교육위기가 오히려 교육의 질을 높일 기회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각 후보들은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전교조는 전교조 창립 33주년이 되는 오는 28일, 서울 도심에서 ‘차별과 경쟁을 넘어, 평등과 협력의 교육대전환으로’를 주제로 전국교사대회를 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