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현직 교육감으로서는 처음으로 '서열화'와 '구분짓기'를 강요하는 현재의 교원성과상여금 지급(교원성과급제)에 반대의 입장을 표했다.
조 교육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그동안 교원성과급제는 '그 명분과 정당성에 심각한 문제제기'가 이어져 왔음을 강조하며 "학생들에게 과정의 중요성과 공동체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선생님들이 수행하는 교육활동의 가치를 비교-평가해 서열화하는 것이 얼마나 모순이며 이율배반적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의식도 상존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조 교육감은 코로나19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모든 선생님이 각자의 자리에서 여러 형태의 헌신을 했음에도 그 애씀의 정도를 일률적으로 평가해 차등을 둔다면 학교 현장에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될 것"이라 강조했다. 이에 조 교육감은 "교원성과상여금 제도라는 왜곡된 동기부여 시스템에 대한 전면 개선을 모두 함께 고민할 때"라며 '2020년만이라도 성과상여금을 균등 배분'하고 만약 균등 배분이 어렵다면 한시적으로라도 차등지급률을 최소한 현재 차등지급률의 절반인 25% 이하로 낮출 것을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자신의 제안이 '공허한 외침이 되지 않도록'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공식 상정하고 교육부의 적극적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라 밝혔다.
이어서 서울지부는 “그 첫발이 바로 차등성과급을 균등 배분하는 것이다. 이는 다면평가로 인해 혼란스러운 학교를 뒤늦게나마 수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차등성과급제도의 폐지를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지난 10월 15일에 있었던 교원단체와 교육부가 만난 자리에서도 전교조는 코로나19로 인해 학사운영이 파행적으로 운영된 올해 상황을 고려할 때 2021년 성과상여금의 차등폭을 최소화하거나 없애지 않으면 학교현장의 반발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월 전교조를 비롯한 교원단체의 요구에 시도교육감협의회와 간담회를 열어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유예한 바 있는 교육부가 이번에는 어떤 답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교육희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